반응형

아두이노가 도착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도착하면 바로 개발할 수 있게 설계도를 작성하였습니다.

이게 무슨 그림이냐고요..? 저는 그림 울렁증 때문에 정말 못그립니다...

좌측의 박스는 PC, 우측의 박스는 아두이노 설계도입니다.


우측의 아두이노 설계도를 먼저 설명하겠습니다.

아두이노 키트 위에 서보모터를 올려둡니다.

그리고 올려둔 서보모터 위에 물총&카메라를 함께 장착시켜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함께 회전해야하는 이유는 야생동물의 움직임을 따라가고, 해당 위치로 물총을 발사하기 위함입니다.


좌측의 PC는 YOLO와 서버가 함께 실행시킵니다.

YOLO에 인식된 물체의 Bounding-Box 좌표를 웹 서버에 등록시킵니다.

아두이노는 항상 서버의 최신 데이터를 받아옵니다.

아두이노에서 Bounding-Box의 좌표를 확인한 후, 카메라의 중간 지점과 비교하여 서보모터를 회전시킵니다.

그리고 Bounding-Box의 좌표가 카메라의 중간 지점에 도달할 경우, 물총을 발사합니다.


여기까지가 설계한 내용입니다.


아두이노를 시작하기 전 서버 구축에 대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PC는 YOLO를 열심히 학습중이고...

때문에 TK1으로 서버를 잠시 대체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프로젝트 > 딥 러닝 Smart Scarecrow (영상 인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Apache2 Root Directory 변경  (0) 2017.11.10
[5] Ubuntu 서버 구축(LAMP)  (0) 2017.10.19
[3] YOLO 학습  (0) 2017.10.19
[2] YOLO 설치와 사용  (0) 2017.10.19
[1] 프로젝트 설계  (0) 2017.10.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