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제 기존에 만들었던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하여 아두이노에서도 서버를 연결해야 한다.
아두이노에서 서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WiFi Shield 또는 Ethernet Shield가 필요하다.
우리는 Ethernet Shield를 사용하겠다. (WiFi Shield도 비슷하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먼저 Ethernet Shield를 아두이노에 연결해야한다.
아두이노와 Ethernet Shield를 연결한 모습이다.
이제 아두이노를 통하여 이전에 구축했던 Apache2 서버에 연결하겠다.
이 코드도 마찬가지로 아두이노에 내장된 예제를 이용하겠다.
예제 코드 중에서 WebClient와 WebServer 예제를 사용한다.
예제를 열면 아래와 같은 소스를 확인할 수 있다.
WebServer 코드에서
byte mac[]; // PC와 연결된 아두이노의 Mac address
IPAddress ip(); // PC와 연결된 아두이노의 현재 IP 주소
위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얻은 정보를 WebClient 코드에 수정한 뒤 사용한다.
WebClient 코드에 있는
IPAddress server();
위의 코드의 주석을 풀어 이전에 구축한 서버 PC의 IP주소를 입력한다.
그리고 WebClient의 코드를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코드를 수정하고 난 뒤, 업로드를 하면 Sirial 화면으로부터 구축된 서버의 메인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가져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프로젝트 > 딥 러닝 Smart Scarecrow (영상 인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마무리 (Animal recognition using deep learning & Smart Scarecrow) (2) | 2017.11.11 |
---|---|
[8] 아두이노와 서보모터 (0) | 2017.11.10 |
[7] 아두이노 환경 설정 (0) | 2017.11.10 |
[6] Apache2 Root Directory 변경 (0) | 2017.11.10 |
[5] Ubuntu 서버 구축(LAMP) (0) | 2017.10.19 |